사자성어 업어치기

자화자찬 (自畵自讚) – "스스로 그리고, 스스로 칭찬하다. 그런데… 누가 보고 있긴 한 걸까?"

글살리고 2025. 3. 31. 10:25

자화자찬 (自畵自讚) – "스스로 그리고, 스스로 칭찬하다. 그런데… 누가 보고 있긴 한 걸까?"


 목차

  1. 자화자찬 (自畵自讚) – 뜻과 유래
  2. 요즘 시대의 자화자찬
  3. 진짜 문제는 ‘칭찬’이 아니라 ‘허상’이다
  4. 자화자찬 → 자화자각 (自畵自覺)
  5. 마무리 한 마디

1. 자화자찬 (自畵自讚) – 뜻과 유래

  • 한자: 自畵自讚
  • 직역: 스스로 그린 그림을, 스스로 칭찬하다
  • 뜻풀이: 자기 스스로 만든 것을 자신이 칭찬하는 모습. 겸손하지 못하고, 자기중심적인 태도를 비꼬는 말.
  • 출처: 중국 당나라 시인 가도(賈島)가 한 스님이 자신이 그린 불상을 두고 스스로 찬탄하는 모습을 보고 이 말을 남겼다고 전해진다.

2. 요즘 시대의 자화자찬

자화자찬은 요즘 세상에서도 흔하다.

  • “혼자 힘으로 여기까지 왔습니다.” (정말 혼자였을까?)
  • “제가 만든 이 프로젝트, 자랑하고 싶네요!” (그 뒤에 묵묵히 일한 동료는?)
  • “나는 진짜 솔직한 사람이야.” (솔직함도 자랑이 되는 세상)

SNS는 말 그대로 자화자찬의 전시장이다.
셀프 칭찬, 셀프 브랜딩, 셀프 포장.
그림은 점점 화려해지는데, 그걸 감상하는 사람들은 점점 지쳐간다.


3. 진짜 문제는 ‘칭찬’이 아니라 ‘허상’이다

스스로를 칭찬하는 건 나쁘지 않다.
때로는 자신을 격려해야 살아남는 세상이니까.

문제는 ‘진짜 나’를 칭찬하는 게 아니라, ‘보여주고 싶은 나’를 찬양한다는 것.
그림은 어설픈데 액자만 번지르르하게 걸어두고,
거기다 박수까지 스스로 친다.

결국 사람들은 ‘그림’이 아니라 ‘쇼’를 본다.


4. 자화자찬 → 자화자각 (自畵自覺)

삐딱하게 말하자면,
이젠 자화자찬보다 자화자각이 필요한 시대다.
스스로 그린 그림을, 스스로 바라보고 반성하는 시간.

  • 진짜 내가 그린 그림은 어떤가?
  • 허상은 아닌가?
  • 타인의 박수가 아닌, 나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가?

이 질문이 자존감을 키우고,
‘나’라는 브랜드를 진짜로 만든다.


5. 마무리 한 마디

“스스로 칭찬할 수 있다면 좋다.
그게 진짜라면.”

자화자찬은 죄가 아니다.
다만 그 그림이 진심으로 그린 것인지,
그 칭찬이 의미 있는 울림인지,
그건 늘 돌아봐야 한다.

혹시 오늘도,
어설픈 스케치에
박수를 강요하고 있진 않은가?